엑셀은 데이터 관리와 분석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특히 대량의 데이터를 다룰 때, 특정 값을 찾아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글에서는 엑셀에서 같은 값을 찾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팁을 소개하겠습니다. 특히, 새로운 함수인 XLOOKUP 및 XMATCH를 활용한 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
새로운 함수 XLOOKUP과 XMATCH의 활용

엑셀에서는 VLOOKUP과 HLOOKUP과 같은 전통적인 함수들이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함수인 XLOOKUP과 XMATCH는 이러한 전통적인 함수의 한계를 극복하고 훨씬 더 유연한 데이터 조회를 가능하게 합니다.
XLOOKUP 함수
XLOOKUP 함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값을 찾는 데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기존의 VLOOKUP과 HLOOKUP의 단점을 보완하여, 행과 열 모두에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정확한 일치뿐만 아니라 근사값 검색도 지원합니다.
XLOOKUP 함수 사용 예시
다음은 XLOOKUP 함수를 사용하여 특정 사무실의 직원 이름을 검색하는 방법입니다.
excel
=XLOOKUP(B2, C2:C7, D2:D7, "존재하지 않음")
위의 예에서, B2는 검색할 사무실의 위치번호, C2:C7은 사무실 위치번호 목록, D2:D7은 해당 사무실에 있는 직원 목록입니다. 만약 해당 위치번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존재하지 않음”이라는 메시지를 반환하게 됩니다.
| 사무실 위치번호 | 직원 이름 |
|---|---|
| 101 | 김철수 |
| 102 | 이영희 |
| 103 | 박민수 |
| 104 | 최지우 |
| 105 | 정우성 |
위의 표를 참고하여, 특정 사무실의 직원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XMATCH 함수
XMATCH 함수는 주어진 배열에서 특정 값의 위치를 찾아주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VLOOKUP과 달리 왼쪽에서 오른쪽만이 아니라 어떤 방향에서도 검색이 가능합니다.
XMATCH 함수 사용 예시
다음은 XMATCH 함수를 사용하여 특정 값을 찾아 그 인덱스를 반환하는 예시입니다.
excel
=XMATCH("김철수", D2:D7)
이 함수는 “김철수”라는 이름이 D2:D7 범위에서 몇 번째 위치에 있는지를 반환합니다.
| 직원 이름 | 인덱스 |
|---|---|
| 김철수 | 1 |
| 이영희 | 2 |
| 박민수 | 3 |
| 최지우 | 4 |
| 정우성 | 5 |
이러한 함수를 활용하면, 특정 값이 데이터 내에서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쉽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
VLOOKUP 함수의 기초

VLOOKUP 함수는 엑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조회 함수 중 하나로, 특정 값을 기준으로 다른 값을 찾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함수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excel
=VLOOKUP(lookup_value, table_array, col_index_num, [range_lookup])
각 인수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lookup_value: 찾고자 하는 값입니다.
- table_array: 값을 찾을 범위입니다.
- col_index_num: 반환할 값이 있는 열의 번호입니다.
- range_lookup: TRUE는 근사값을, FALSE는 정확한 일치를 의미합니다.
VLOOKUP 함수 사용 예시
다음은 VLOOKUP 함수를 사용하여 특정 사무실의 직원 이름을 찾는 예시입니다.
excel
=VLOOKUP(B2, C2:E7, 2, FALSE)
이 경우, B2는 찾고자 하는 사무실 위치번호이며, C2:E7은 사무실 위치번호와 직원 이름이 포함된 범위입니다. 이 기능을 통해 각 사무실에 해당하는 직원의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사무실 위치번호 | 직원 이름 |
|---|---|
| 201 | 이지은 |
| 202 | 박소연 |
| 203 | 김하늘 |
| 204 | 최민준 |
| 205 | 정아름 |
위의 표를 통해 VLOOKUP의 사용 예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무실의 직원 정보를 빠르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INDEX와 MATCH 함수 조합

VLOOKUP 함수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만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구조에 따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INDEX와 MATCH 함수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INDEX 함수
INDEX 함수는 주어진 배열에서 특정 위치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excel
=INDEX(array, row_num, [column_num])
MATCH 함수
MATCH 함수는 특정 값이 배열 내의 몇 번째 위치에 있는지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excel
=MATCH(lookup_value, lookup_array, [match_type])
INDEX와 MATCH 함수 사용 예시
다음은 INDEX와 MATCH 함수를 조합하여 특정 사무실의 직원 이름을 찾는 예시입니다.
excel
=INDEX(D2:D7, MATCH(B2, C2:C7, 0))
위의 수식은 B2에 입력된 사무실 위치번호가 C2:C7에서 몇 번째 위치에 있는지를 MATCH 함수로 찾고, 그 위치를 INDEX 함수에 전달하여 D2:D7에서 해당 위치의 이름을 반환하는 구조입니다.
| 사무실 위치번호 | 직원 이름 |
|---|---|
| 301 | 김진수 |
| 302 | 이예린 |
| 303 | 박서준 |
| 304 | 최수빈 |
| 305 | 정윤아 |
이 방법을 통해 데이터의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결론 및 활용 방안
엑셀에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 방법에는 고유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XLOOKUP과 XMATCH 같은 최신 함수는 기존의 함수들보다 훨씬 더 유연하고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므로, 새로운 버전의 엑셀을 사용하고 있다면 이러한 함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VLOOKUP과 INDEX/MATCH 조합은 여전히 유용하며, 데이터의 구조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함수들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엑셀의 다양한 기능을 익히고 활용하는 것은 데이터 분석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함수들을 연습하시고 실제 데이터에 적용해 보시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