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과 연구에서 ‘척도’와 ‘자료 유형’은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두 가지 요소는 연구의 설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본 글에서는 척도의 종류와 질적 및 양적 자료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척도의 종류

척도는 데이터를 측정하고 분류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척도는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척도는 데이터의 특성과 분석 방법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명목척도
명목척도는 데이터를 단순히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척도입니다. 명목척도는 다양한 카테고리로 데이터를 나누고, 각 카테고리에 숫자를 부여하지만 순서나 간격은 의미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성별, 혈액형, 선호하는 색상 등이 명목척도의 예입니다.
| 카테고리 | 설명 | 예시 |
|---|---|---|
| 1 | 남성 | 남성 |
| 2 | 여성 | 여성 |
| 3 | 비바이너리 | 비바이너리 |
명목척도는 통계적으로 빈도나 비율을 계산하는 데 유용합니다. 그러나 평균이나 중간값을 계산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성별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할 때 남성과 여성의 비율을 계산할 수는 있지만, ‘남성’과 ‘여성’의 평균값을 구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서열척도
서열척도는 데이터 간의 순서를 나타낼 수 있는 척도입니다. 이는 각 데이터가 비교 가능한 순서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열척도의 예로는 고객 만족도 조사에서의 ‘매우 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 등이 있습니다.
| 순위 | 카테고리 | 설명 |
|---|---|---|
| 1 | 매우 불만족 | 고객의 만족도가 가장 낮음 |
| 2 | 불만족 | 고객의 만족도가 낮음 |
| 3 | 보통 | 고객의 만족도가 중간임 |
| 4 | 만족 | 고객의 만족도가 높음 |
| 5 | 매우 만족 | 고객의 만족도가 가장 높음 |
서열척도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정렬하는 데 유용하지만, 각 순위 간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평균을 계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대신 중간값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등간척도
등간척도는 데이터 간의 차이가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척도입니다. 따라서 이 척도는 순서뿐만 아니라 각 데이터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도(섭씨 또는 화씨), IQ 점수 등이 등간척도의 예입니다.
| 온도 (℃) | 설명 | 차이 |
|---|---|---|
| 0 | 얼음이 녹는 점 | |
| 10 | 약간 따뜻한 날씨 | 차이: 10℃ |
| 20 | 일반적인 실내 온도 | 차이: 10℃ |
| 30 | 더운 날씨 | 차이: 10℃ |
등간척도에서는 평균과 중간값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통계적 분석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절대영점이 없기 때문에 비율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20도가 10도보다 두 배 더 덥다고 주장할 수는 없습니다.
비율척도
비율척도는 모든 특성을 갖춘 가장 정교한 척도입니다. 비율척도는 순서, 간격 및 절대영점이 존재하여, 데이터 간의 비율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게, 높이, 나이 등이 비율척도의 예입니다.
| 무게 (kg) | 설명 | 비율 |
|---|---|---|
| 0 | 아무 것도 없음 | |
| 50 | 중간 정도의 무게 | |
| 100 | 두 배의 무게 | 100kg는 50kg의 두 배임 |
| 200 | 네 배의 무게 | 200kg는 50kg의 네 배임 |
비율척도는 모든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율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는 과학적 연구 및 실험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는 데이터의 본질과 수집 방법에 따라 구분됩니다. 이 두 가지 자료 유형은 연구의 설계와 결과 해석에 큰 영향을 줍니다.
질적 자료
질적 자료는 주로 비수치적이며, 사람들의 경험, 감정, 의견 등을 수집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주로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 등을 통해 수집되며, 데이터 분석 시 주제나 패턴을 찾는 데 중점을 둡니다.
질적 자료의 장점은 참여자의 깊은 통찰과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자료 유형 | 설명 | 수집 방법 |
|---|---|---|
| 질적 자료 | 비수치적 데이터 | 인터뷰, 포커스 그룹, 관찰 |
질적 자료의 분석은 주로 텍스트 분석, 내용 분석 및 주제 분석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됩니다. 이러한 분석 방법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주요 주제나 경향을 도출하는 데 유용합니다.
양적 자료
양적 자료는 수치적 데이터로, 통계적 분석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주로 설문지, 실험, 관찰 등을 통해 수집되며, 대규모 데이터 분석에 적합합니다.
양적 자료의 장점은 명확한 수치로 결과를 제시할 수 있어, 신뢰성과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 자료 유형 | 설명 | 수집 방법 |
|---|---|---|
| 양적 자료 | 수치적 데이터 | 설문지, 실험, 관찰 |
양적 자료의 분석은 주로 통계적 방법을 사용해 이루어집니다. 평균, 중간값, 표준편차, 회귀 분석 등을 통해 데이터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다양한 통계 소프트웨어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결론
척도와 자료 유형의 이해는 연구를 설계하고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와 질적 자료, 양적 자료는 각각의 특성과 활용 방법이 다르므로 연구 목적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데이터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활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