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은 한국의 전통적인 발효 음식으로, 겨울철에 가족과 함께 나누는 소중한 음식입니다. 특히 절임배추를 사용하여 만드는 김치는 그 깊은 맛과 아삭한 식감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kg의 절임배추로 만드는 김장 양념 비율과 레시피를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
절임배추 손질하기

김장을 시작하기 전에 첫 번째 단계는 절임배추를 손질하는 것입니다. 절임배추는 신선한 배추를 소금물에 절여서 만든 것으로, 이 과정을 통해 김치의 깊은 맛을 더해줍니다.
절임배추 손질 방법
- 배추 선택: 먼저, 신선한 배추를 선택해야 합니다. 잎이 두껍고 연한 색을 띠며, 흠집이 없는 배추가 좋습니다.
- 세척: 배추의 줄기 부분에는 흙이 많이 묻어 있으므로, 줄기를 잘라낸 후 흐르는 물에 씻어야 합니다. 이후 체에 받쳐 물기를 제거합니다.
- 소금 절이기: 배추를 큰 대야에 넣고 꽃소금을 고루 뿌려줍니다. 각 잎 사이에 소금이 잘 스며들도록 배추를 비틀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 숙성: 소금을 뿌린 배추는 약 6-8시간 정도 숙성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배추의 수분이 빠져나오고, 나중에 양념이 잘 스며들게 됩니다.
| 단계 | 내용 | 시간 |
|---|---|---|
| 1 | 배추 선택 | – |
| 2 | 세척 | – |
| 3 | 소금 절이기 | 6-8시간 |
| 4 | 숙성 후 물기 제거 | – |
이렇게 손질한 배추는 후에 양념을 넣어 김치를 담는 준비가 완료됩니다.
김장 양념 준비하기

양념은 김치의 맛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20kg의 절임배추를 위해 준비해야 할 양념 재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필수 재료
- 절임배추 20kg
- 쪽파 또는 대파 1.2kg
- 다진 마늘 800g
- 다진 생강 40g
- 찹쌀가루 160g
- 물 2.4L
- 굵은 고춧가루 1.2kg
- 소고기 다시다 3.2T
- MSG 3.2T
- 무 2.4kg
- 꽃소금 120g
- 새우젓 560g
- 멸치액젓 800g
- 설탕 320g
이 재료들은 김치의 맛을 조화롭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새우젓과 멸치액젓은 깊은 감칠맛을 더해줍니다.
양념 만드는 법
- 찹쌀풀 만들기: 먼저 찹쌀가루와 물을 섞어 중불에서 끓여 찹쌀풀을 만듭니다. 이때 거품기를 사용하여 덩어리가 지지 않도록 저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 양념 혼합: 찹쌀풀이 식으면, 쪽파, 다진 마늘, 다진 생강, 굵은 고춧가루, 소고기 다시다, MSG, 무, 꽃소금, 새우젓, 멸치액젓, 설탕을 모두 넣고 잘 섞어줍니다.
- 맛 조절: 양념의 맛을 봐가면서 소금이나 설탕을 추가하여 본인의 입맛에 맞게 조절합니다.
| 재료 | 양량 | 비고 |
|---|---|---|
| 찹쌀가루 | 160g | 찹쌀풀로 사용 |
| 물 | 2.4L | 찹쌀풀 만들기용 |
| 굵은 고춧가루 | 1.2kg | 매운맛 조절 가능 |
| 소고기 다시다 | 3.2T | 감칠맛 부여 |
| MSG | 3.2T | 선택 사항 |
| 무 | 2.4kg | 아삭한 식감 추가 |
| 꽃소금 | 120g | 절임배추에 사용 |
이제 양념이 준비되었으니,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습니다.
김치 담그기

김치 담그기는 김장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잘 숙성된 배추와 맛있는 양념이 만나야 하죠.
담그기 방법
- 양념 배합: 손질한 배추를 절여 놓은 후, 물기를 제거합니다. 그 후, 양념을 배추 사이사이에 고루 발라줍니다.
- 무 추가: 양념을 바른 배추 사이에 무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넣습니다. 무는 아삭한 식감을 더해주고, 국물의 맛을 우려내는 역할을 합니다.
- 김치통에 담기: 양념이 잘 배어든 배추를 김치통에 차곡차곡 담습니다. 이때 공기가 안 들어가도록 눌러 담는 것이 필요합니다.
- 숙성: 김치통을 실온에 두어 1-2일 정도 숙성시킵니다. 이 후, 냉장고에 보관하면 됩니다.
| 단계 | 내용 | 비고 |
|---|---|---|
| 1 | 양념 배합 | 배추 사이사이에 고루 발라줌 |
| 2 | 무 추가 | 아삭한 식감 부여 |
| 3 | 김치통에 담기 | 공기가 안 들어가게 눌러 담기 |
| 4 | 숙성 | 실온에서 1-2일 후 냉장 보관 |
이 과정을 통해 완성된 김치는 그 자체로도 훌륭하지만, 여러 요리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보관과 맛있게 먹는 법
김치를 잘 담근 후에는 보관 방법과 먹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야 합니다.
보관 방법
- 냉장 보관: 김치가 잘 숙성되면, 냉장고의 김치 전용 공간이나 김치냉장고에 보관합니다. 이때 김치통의 뚜껑을 꼭 닫아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합니다.
- 냉동 보관: 만약 김치가 남았다면, 소분하여 냉동 보관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김치의 맛이 다소 변할 수 있으니, 조리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맛있게 먹는 법
- 밥과 함께: 김치는 밥과 함께 간단한 반찬으로 즐기거나, 김치찌개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김치전: 남은 김치로 김치전을 만들어 간편하고 맛있는 요리로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보관 방법 | 설명 | 비고 |
|---|---|---|
| 냉장 보관 | 김치 전용 공간에 보관 | 뚜껑을 꼭 닫아야 함 |
| 냉동 보관 | 소분하여 냉동 | 조리용으로 사용 가능 |
이렇게 준비된 김장은 가족과 함께 나누는 소중한 음식이자, 겨울철 따뜻한 정을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김장을 통해 전통의 맛을 느끼고, 가족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좋은 기회가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