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Zone Load Balancing(교차 영역 로드 밸런싱)은 장애 조치 및 트래픽 분산을 최적화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입니다. 이는 AWS의 Elastic Load Balancing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기능 중 하나로, 여러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에서 인스턴스에 요청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섹션에서는 Cross-Zone Load Balancing의 원리와 이점, 설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Cross-Zone Load Balancing의 원리

Cross-Zone Load Balancing은 여러 가용 영역에서 실행되고 있는 로드 밸런서 인스턴스가 각 가용 영역에 등록된 인스턴스에 대해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기본적으로 AWS에서는 로드 밸런서가 요청을 처리할 때, 해당 로드 밸런서가 위치한 가용 영역 내의 인스턴스만을 대상으로 요청을 분산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그러나 Cross-Zone Load Balancing이 활성화되면, 각 가용 영역의 인스턴스에 대해 요청이 고르게 분배되어, 특정 가용 영역에 쏠리는 요청을 방지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특히 장애가 발생했을 때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가용 영역에서 인스턴스가 다운되더라도, 다른 가용 영역에서 요청을 수용할 수 있어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이언트들이 DNS 조회를 캐시하는 환경에서는 특정 가용 영역에 트래픽이 집중될 수 있는데, Cross-Zone Load Balancing을 통해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Cross-Zone Load Balancing의 이점
Cross-Zone Load Balancing의 가장 큰 장점은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여러 가용 영역에 인스턴스를 두고 요청을 균등하게 분산함으로써, 특정 영역의 인스턴스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가용 영역 간의 인스턴스 수를 동일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어, 관리의 용이성도 제공합니다.
| 이점 | 설명 |
|---|---|
| 가용성 향상 | 한 가용 영역의 장애 발생 시 다른 영역에서 요청 수용 가능 |
| 관리 용이성 | 인스턴스 수를 균등하게 유지할 필요 없음 |
| 요청 균형 분산 | 특정 영역에 요청 집중을 방지 |
Cross-Zone Load Balancing 설정 방법

Cross-Zone Load Balancing은 AWS Management Console, AWS CLI, 또는 API를 통해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는 로드 밸런서를 생성할 때 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으며, 생성 후에도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습니다.
AWS Management Console을 통한 설정
- AWS Management Console에 로그인합니다.
- ‘EC2’ 서비스로 이동한 뒤, ‘Load Balancing’ 섹션에서 ‘Load Balancers’를 선택합니다.
- 설정하고자 하는 로드 밸런서를 선택하여 세부 정보를 확인합니다.
- ‘Attributes’ 탭에서 ‘Edit’ 버튼을 클릭합니다.
- ‘Cross-zone load balancing’ 옵션을 활성화한 후, ‘Save changes’를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AWS CLI를 통한 설정
CLI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bash
aws elbv2 modify-load-balancer-attributes --load-balancer-arn <로드 밸런서 ARN> --attributes Key=deletion_protection.enabled,Value=true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Cross-Zone Load Balancing 속성을 true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를 실행한 후, 아래의 명령어로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bash
aws elbv2 describe-load-balancer-attributes --load-balancer-arn <로드 밸런서 ARN>
| 설정 방법 | 설명 |
|---|---|
| 콘솔을 통한 설정 | AWS Management Console에서 단계별로 설정 가능 |
| CLI를 통한 설정 | AWS CLI 명령어로 직접 설정 가능 |
| API를 통한 설정 | API 호출을 통해 프로그램적으로 설정 가능 |
SSL 연결 드레이닝은 보안 웹사이트에서 데이터 전송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프로세스입니다. 이 기능은 SSL(보안 소켓 계층) 인증서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암호화합니다.
SSL 연결 드레이닝은 주로 서비스 종료 또는 업데이트 시 연결을 안전하게 종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섹션에서는 SSL 연결 드레이닝의 개념과 이점,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SL 연결 드레이닝의 원리
SSL 연결 드레이닝은 서버가 사용자의 기존 SSL 연결을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도록 하는 매커니즘입니다. 일반적으로 서버가 종료되면 기존의 SSL 연결도 즉시 종료되지만, SSL 연결 드레이닝을 사용하면, 서버가 종료되기 전에 이미 연결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와의 SSL 세션을 유지합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수 있으며, 서버는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습니다. SSL 연결 드레이닝의 주요 목적은 데이터를 잃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중요한 거래를 진행 중일 때, 서버가 갑작스럽게 종료되면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SSL 연결 드레이닝을 사용하면, 서버는 모든 연결을 종료하기 전에 클라이언트와의 세션을 안전하게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SSL 연결 드레이닝의 이점
SSL 연결 드레이닝의 가장 큰 장점은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을 보장한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서비스 중단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는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기능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이점 | 설명 |
|---|---|
| 데이터 전송 안전성 | 기존 연결을 안전하게 종료하여 데이터 손실 방지 |
| 사용자 경험 개선 | 서비스 중단 없이 데이터 전송 가능 |
| 시스템 안정성 향상 | 안전한 종료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증가 |
SSL 연결 드레이닝 설정 방법
SSL 연결 드레이닝은 AWS의 Elastic Load Balancer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로드 밸런서의 속성을 통해 이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AWS Management Console을 통한 설정
- AWS Management Console에 로그인합니다.
- ‘EC2’ 서비스로 이동한 후, ‘Load Balancing’ 섹션에서 ‘Load Balancers’를 선택합니다.
- 설정하고자 하는 로드 밸런서를 선택하여 세부 정보를 확인합니다.
- ‘Attributes’ 탭에서 ‘Edit’ 버튼을 클릭합니다.
- ‘Connection draining’ 옵션을 활성화한 후, ‘Save changes’를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AWS CLI를 통한 설정
CLI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bash
aws elbv2 modify-load-balancer-attributes --load-balancer-arn <로드 밸런서 ARN> --attributes Key=connection_draining.enabled,Value=true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SSL 연결 드레이닝 속성을 true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를 실행한 후, 아래의 명령어로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bash
aws elbv2 describe-load-balancer-attributes --load-balancer-arn <로드 밸런서 ARN>
| 설정 방법 | 설명 |
|---|---|
| 콘솔을 통한 설정 | AWS Management Console에서 단계별로 설정 가능 |
| CLI를 통한 설정 | AWS CLI 명령어로 직접 설정 가능 |
| API를 통한 설정 | API 호출을 통해 프로그램적으로 설정 가능 |
Cross-Zone Load Balancing과 SSL 연결 드레이닝은 AWS의 Elastic Load Balancing에서 제공하는 두 가지 중요한 기능입니다. 이들은 각각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과 데이터 전송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면, 서비스의 안정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AWS의 유연한 설정 방법과 다양한 도구를 통해 이러한 기능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IT 인프라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