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개발의 세계에서 Servlet과 JSP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술입니다. 두 기술은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하고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Servlet과 JSP의 기본 개념, 동작 원리, 그리고 이들이 어떻게 MVC(Model-View-Controller) 아키텍처를 통해 협력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Servlet의 이해

Servlet은 Java로 작성된 서버 측 프로그램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여 동적 웹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Servlet은 Java EE (Enterprise Edition) 플랫폼의 일부로, Tomcat과 같은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실행됩니다.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을 보내면, Servlet은 해당 요청을 처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합니다.
Servlet의 동작 원리
Servlet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요청 수신: 클라이언트가 URL을 입력하면 HTTP 요청이 Servlet Container로 전송됩니다.
- 객체 생성: Servlet Container는
HttpServletRequest와HttpServletResponse객체를 생성합니다. - 매핑: 웹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파일인
web.xml을 참고하여 요청된 URL과 매핑된 Servlet을 찾습니다. - Servlet 인스턴스 생성: 이전에 생성된 Servlet 인스턴스가 없으면
init()메소드를 호출하여 생성합니다. - 요청 처리: Servlet Container는 스레드를 생성하고,
service()메소드를 호출하여 요청을 처리합니다. 요청의 종류에 따라doGet()또는doPost()메소드가 호출됩니다. - 응답 생성: 요청 처리 후, Servlet은
HttpServletResponse객체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냅니다. - 객체 소멸: 요청 처리가 끝나면
destroy()메소드를 사용하여 생성된 객체를 소멸시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Servlet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맞는 동적 웹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Servlet의 장점
Servlet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장점 | 설명 |
|---|---|
| 플랫폼 독립성 | Java로 작성되어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실행 가능 |
| 성능 | 서블릿은 메모리에 상주하여 빠른 처리 속도를 제공 |
| 확장성 |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는 여러 스레드를 생성할 수 있어 많은 요청을 동시에 처리 가능 |
| 보안 | Java의 보안 모델을 활용하여 안전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능 |
이와 같은 장점 덕분에 Servlet은 많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JSP의 이해

JSP (JavaServer Pages)는 HTML 코드 내에 Java 코드를 삽입하여 동적 웹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JSP는 HTML과 Java를 결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데 유용하며, 주로 프레젠테이션 계층에서 사용됩니다.
JSP의 동작 원리
JSP의 동작 과정은 Servlet과 유사하지만, JSP는 HTML 코드 내에 Java 코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JSP가 요청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이 진행됩니다.
- 요청 수신: 클라이언트가 JSP 페이지에 대한 요청을 보냅니다.
- JSP 변환: JSP는 서블릿으로 변환됩니다. 이 과정에서 JSP 페이지의 HTML과 Java 코드가 결합된 서블릿 원시 코드가 생성됩니다.
- 서블릿 컴파일: 변환된 서블릿 원시 코드는 컴파일되어
.class파일로 변환됩니다. - 응답 생성: 생성된 서블릿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여 HTML 응답을 생성합니다.
- 결과 전송: 최종적으로 생성된 HTML 응답이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됩니다.
JSP는 HTML 코드와 Java 코드를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자는 프레젠테이션 로직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JSP의 장점
JSP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장점 | 설명 |
|---|---|
| 개발 용이성 | HTML 코드 내에 Java 코드를 삽입할 수 있어 직관적인 개발 가능 |
| 유지보수 | 비즈니스 로직과 프레젠테이션 로직을 분리하여 유지보수 용이 |
| 재사용성 | 태그 라이브러리 및 커스텀 태그를 통해 코드 재사용 가능 |
| 표준화 | Java EE 표준으로 다른 Java 기술과 쉽게 통합 가능 |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JSP는 동적 웹 페이지 개발에 있어 매우 유용한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Servlet과 JSP의 조합 MVC 아키텍처

Servlet과 JSP는 함께 사용하여 MVC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MVC 아키텍처는 코드의 구조를 명확히 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구조에서 Servlet은 Controller 역할을, JSP는 View 역할을 수행합니다.
MVC 아키텍처의 구성 요소
- Model: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합니다.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처리합니다.
- View: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UI를 담당합니다. JSP 페이지가 이 역할을 수행합니다.
- Controller: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Model과 View를 연결합니다. Servlet이 이 역할을 수행합니다.
MVC 아키텍처의 동작 과정
MVC 아키텍처의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용자 요청: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URL을 입력하여 요청을 보냅니다.
- Servlet (Controller): 요청을 수신한 Servlet이 해당 요청을 처리합니다. 필요한 데이터를 Model에서 가져옵니다.
- JSP (View): Servlet은 데이터를 JSP 페이지로 전달합니다. JSP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종 HTML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 응답 전송: 생성된 HTML 페이지가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명확하게 하여 개발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MVC 아키텍처의 장점
MVC 아키텍처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장점 | 설명 |
|---|---|
| 유지보수 용이 | 각 구성 요소가 독립적으로 개발 및 수정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 |
| 코드 재사용성 | 공통 기능을 Model에 구현하여 여러 View에서 재사용 가능 |
| 테스트 용이 | 각 구성 요소를 독립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어 버그 발견 및 수정이 용이 |
| 확장성 | 새로운 기능 추가가 용이하여 애플리케이션 확장이 쉬움 |
이와 같은 장점 덕분에 MVC 아키텍처는 많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채택되고 있습니다.
결론
Servlet과 JSP는 웹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술입니다. Servlet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데 적합하며, JSP는 프레젠테이션 로직을 담당합니다.
이 두 기술의 조합은 MVC 아키텍처를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Servlet과 JSP는 웹 개발자들에게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고 있으며, 향후에도 그 중요성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