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은 겨울이 다가오는 시기로, 농부와 텃밭 애호가들에게는 월동 작물을 심기에 적합한 달입니다. 이 시기에 심는 작물은 추위에 강하고 겨울철에도 생육이 가능하여, 다음 해 봄에 풍성한 수확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1월에 심기 좋은 작물과 그 재배 방법, 관리 요령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양파
양파는 가을 재배 기준으로는 10월에 모종을 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양파는 추위에 강한 작물이기 때문에, 땅이 얼지 않았다면 11월에도 모종을 심을 수 있습니다.
양파는 평균 기온이 5℃ 이하로 내려가기 한 달 전까지 심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제주도와 남부 지역에서는 11월에 심는 것이 가능합니다.
재배 방법
양파 모종은 15℃ 이상의 온도에서 심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양파는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라며, 햇볕을 충분히 받아야 합니다.
양파를 심기 전, 토양을 잘 갈아주고 퇴비를 섞어주면 좋습니다. 모종을 심을 때는, 양파 간격을 10-15cm 정도 두고 심어주면 됩니다.
양파는 물빠짐이 좋고, 기름진 토양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물을 주고, 잡초를 제거해야 합니다. 양파는 일반적으로 5-6개월 후에 수확할 수 있으며, 뿌리가 튼튼하게 자라는 것을 확인한 후에 수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분 | 내용 |
---|---|
심는 시기 | 11월 (남부지역) |
간격 | 10-15cm |
재배 기간 | 5-6개월 |
적합 토양 | 배수가 좋은 기름진 토양 |
마늘
마늘은 한지형과 난지형으로 나뉘며, 한지형 마늘은 잎이 나오고 나서 겨울이 오게 되면 얼어 죽기 때문에 겨울에 자라지 않고 월동할 수 있도록 난지형 마늘보다 늦게 심습니다. 일반적으로 한지형 마늘은 10월에 심지만, 땅이 얼지 않았다면 11월에도 심을 수 있습니다.
재배 방법
마늘은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 잘 자라며, 햇볕을 많이 받아야 합니다. 마늘을 심기 전에는 땅을 잘 갈아주고 퇴비를 섞어주어야 합니다.
심을 때는 마늘을 10-15cm 간격으로 심고, 흙을 덮어주면 됩니다. 겨울철에는 마늘이 월동하기 때문에 너무 많은 물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마늘은 일반적으로 6월에 수확할 수 있으며, 잎이 노랗게 변하면 수확할 시기가 다가왔다는 신호입니다.
구분 | 내용 |
---|---|
심는 시기 | 11월 (땅 얼지 않을 경우) |
간격 | 10-15cm |
재배 기간 | 약 6-7개월 |
적합 토양 | 배수가 좋은 기름진 토양 |
루꼴라
루꼴라는 이탈리아 요리에 많이 사용되는 채소로, 부드럽고 단맛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작물은 기온이 높은 여름만 피하면 언제든지 파종할 수 있으며, 남부 지방에서는 한 달 정도의 짧은 재배 기간으로 수시로 수확이 가능합니다.
재배 방법
루꼴라는 일반적으로 씨앗을 1cm 정도 깊이로 심어주며, 간격은 15-20cm 정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루꼴라는 비교적 빠르게 자라며, 약 4주 정도 후에 수확할 수 있습니다.
루꼴라는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잘 자라며, 햇볕을 충분히 받아야 합니다. 또한, 너무 더운 날씨에서는 자라지 않기 때문에 기온이 15도 이상일 때 심는 것이 좋습니다.
수확할 때는 잎을 잘라내어 계속해서 자라도록 유도하면, 추가적인 수확이 가능합니다.
구분 | 내용 |
---|---|
심는 시기 | 11월 중순까지 |
간격 | 15-20cm |
재배 기간 | 약 4주 |
적합 토양 | 배수가 좋은 기름진 토양 |
완두콩
완두콩은 겨울을 지나 봄 재배가 가능하지만 가을에 심어 월동할 수 있는 작물입니다. 월동한 완두콩은 알도 크고 품질 면과 맛이 더욱 좋습니다.
완두콩은 내한성이 매우 강한 작물로, 큰 추위가 와도 죽지 않기 때문에 겨울에 싹이 나오지 않아도 봄에 싹이 올라옵니다.
재배 방법
완두콩은 11월 중순까지 파종할 수 있으며, 씨앗은 2-3cm 깊이로 심어주고 간격은 5-10cm 정도 두는 것이 좋습니다. 완두콩은 햇볕을 충분히 받아야 하며,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완두콩은 추위에 강하지만, 너무 많은 물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봄에 수확할 수 있으며, 수확 시기는 완두콩이 맺힌 후 약 60-70일이 지나면 가능합니다.
구분 | 내용 |
---|---|
심는 시기 | 11월 중순까지 |
간격 | 5-10cm |
재배 기간 | 약 60-70일 |
적합 토양 | 배수가 좋은 기름진 토양 |
명이나물
명이나물, 또는 산마늘은 가을에 심어 겨울을 나는 특성을 가진 작물입니다. 이 작물은 최소 5년의 육묘 과정을 거쳐야 수확할 수 있으며, 이른 봄에 한 번 수확이 가능합니다.
명이나물은 겨울철에도 잘 견디며, 여름철에는 휴면기에 들어가기 때문에 수확이 불가능합니다.
재배 방법
명이나물은 일반적으로 10월 말까지 심을 수 있으며, 10-15cm 정도의 간격으로 심어야 합니다. 명이나물은 햇볕을 충분히 받아야 하며, 배수가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명이나물은 심은 후 최소 5년이 지나야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심기 전에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수확 시기는 3-4월에 이루어지며, 그 이후에는 휴면기에 들어가므로 수확이 불가능합니다.
구분 | 내용 |
---|---|
심는 시기 | 11월까지 (땅 얼기 전) |
간격 | 10-15cm |
재배 기간 | 최소 5년 |
적합 토양 | 배수가 좋은 기름진 토양 |
도라지
도라지는 내한성이 좋아 추위에 강한 작물로, 우리나라 모든 지역에서 잘 자라는 작물입니다. 도라지는 발아한 묘가 큰 추위에 얼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싹이 나지 않은 상태에서 겨울을 지내도록 늦게 파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배 방법
도라지는 11월 하순까지 파종할 수 있으며, 씨앗은 약 1-2cm 깊이로 심어주고, 간격은 15-20cm 정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도라지는 배수가 좋은 토양에서 잘 자라며, 햇볕을 충분히 받아야 합니다.
도라지는 일반적으로 1-2년 후에 수확할 수 있으며, 뿌리가 두꺼워질 때까지 기다린 후에 수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분 | 내용 |
---|---|
심는 시기 | 11월 하순까지 |
간격 | 15-20cm |
재배 기간 | 1-2년 |
적합 토양 | 배수가 좋은 기름진 토양 |
더덕
더덕은 묘를 1년 정도 자란 상태에서 옮겨 심어 1-2년 재배하는 것이 품질 좋은 더덕을 얻는 방법입니다. 가을 재배의 경우 10-11월에 심어 묘를 1년 정도 기르고 다음 해 10-11월에 이식 작업을 하면 됩니다.
재배 방법
더덕은 일반적으로 간격을 30-40cm 정도 두고 심으며, 심기 전에는 토양을 잘 갈아주고 퇴비를 섞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더덕은 햇볕을 많이 받아야 하며,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더덕은 일반적으로 1-2년 후에 수확할 수 있으며, 뿌리가 두꺼워질 때까지 기다린 후에 수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분 | 내용 |
---|---|
심는 시기 | 10-11월 |
간격 | 30-40cm |
재배 기간 | 1-2년 |
적합 토양 | 배수가 좋은 기름진 토양 |
이처럼 11월은 월동 작물을 심기에 적합한 시기입니다. 각 작물마다 특성과 관리 요령이 다르므로, 자신의 텃밭 환경에 맞춰 적절하게 선택하여 심는 것이 필요합니다.
월동 작물을 심어 겨울 동안에도 풍성한 수확을 기대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관련 영상
같이보면 좋은 글
2023년 7월 재배 추천 작물 10선
여름철 뜨거운 태양과 풍부한 일조량 덕분에 7월은 다양한 작물을 심기에 적합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봄에 심었던 작물들이 수확을 앞두고 있어 텃밭 공간이 여유로워지기 때문에, 새롭게
9leedo.com
2023년 8월 재배 추천 작물 18선
여름의 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리는 8월, 하지만 이 시기는 가을의 풍성한 수확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점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8월에 심을 수 있는 작물 18가지를 소개하며, 각 작물
9leedo.com
2025년 4월 재배 추천 작물 24선
2025년 4월에는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주어집니다. 기온이 올라가면서 여러 작물을 심기에 적합한 시점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4월에 심을 수 있는 작물
9leedo.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