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은 농사에 있어 특히 중요한 달입니다. 이 시기에 다양한 작물을 심을 수 있으며, 지역과 기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미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4월에 심을 수 있는 작물 24가지를 소개하고, 각 작물의 특징과 재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옥수수
옥수수는 여름철 대표적인 작물로, 4월부터 7월까지 오랜 기간 동안 파종이 가능합니다. 옥수수는 토양을 가리지 않고 잘 자라기 때문에 초보 농부에게도 적합한 작물입니다.
수확 직후 바로 소비하면 더욱 맛이 좋습니다. 따라서 텃밭에서 재배할 경우, 2주 간격으로 나누어 파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수확 시기를 조절할 수 있어 신선한 옥수수를 오랫동안 즐길 수 있습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옥수수 | 4월-7월 | 4월 중순-5월 초 | 8월 중순-9월 초 |
옥수수 재배 시, 흙의 배수와 통기성이 필요합니다. 통풍이 잘 되는 지역에서 재배하면 더욱 건강한 옥수수를 기를 수 있습니다.
옥수수는 자생적으로 수분을 주고 받기 때문에 다른 식물과 함께 재배하기도 좋습니다. 다만, 옥수수는 키가 크기 때문에 텃밭의 위치를 잘 생각해야 합니다.
2. 생강
생강은 4월에 파종을 시작하지만, 5월 초까지도 충분히 심을 수 있는 작물입니다. 생강은 싹이 올라오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리는 특성이 있으므로, 심는 시기를 잘 지켜야 합니다.
초기 생육 단계에서 병충해가 없는 편이기 때문에, 잘 자라기만 하면 수확까지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생강 | 6-8개월 | 4월-5월 초 | 10월 중순-11월 초 |
생강은 모종 가격이 비쌀 수 있으나, 씨종강을 구입하여 심는 것이 더 경제적입니다. 또한, 초기에는 적절한 수분 공급이 필요하므로 흙이 마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생강을 기르며 관심을 가져주면, 건강한 생강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3. 당근
당근은 봄과 가을에 모두 재배할 수 있는 작물입니다. 특히 봄 재배는 장마 전에 수확을 마쳐야 하므로, 4월 중순까지는 빠르게 심어야 합니다.
당근은 발아 과정이 다소 어려울 수 있으나, 이후에는 병충해가 적어 관리가 용이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당근 | 3-4개월 | 4월 초-중순 | 7월 중순-8월 초 |
당근은 흙 속에서 자라는 뿌리 작물이므로, 배수성이 좋은 흙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당근은 깊게 심는 것보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심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20cm 간격으로 심으면 건강한 당근을 기를 수 있습니다.
4. 땅콩
땅콩은 4월에 파종하고 5월 중순에는 모종 정식을 하게 됩니다. 텃밭 면적이 충분하다면 모종 정식이 경제적이지만, 작물 면적이 적다면 직파 방식이 더 좋습니다.
땅콩은 열대 원산의 고온 작물로, 여름에 잘 자라며 생육 기간이 긴 편입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땅콩 | 4-5개월 | 4월-5월 초 | 8월 중순-9월 초 |
땅콩은 햇볕을 많이 받아야 잘 자라므로, 직사광선이 드는 곳에 심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땅콩은 다른 식물과의 궁합이 좋기 때문에 텃밭에 심기에도 적합합니다.
다만, 새들이 많이 서식하면 피해를 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5. 강낭콩
강낭콩은 두 가지 품종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재배 방법이 필요합니다. 왜성종은 덩굴이 뻗지 않는 품종으로, 3월 하순에 직파하여 장마 전에 수시로 수확할 수 있습니다.
반면, 만성종은 덩굴이 나오는 품종으로 4월에 심어 여러 번 수확이 가능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강낭콩 | 60일 | 3월 하순-4월 초 | 5월 중순-6월 초 |
강낭콩은 햇빛을 많이 받아야 하므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 주어야 합니다. 보통 30cm 간격으로 심고, 지지대를 세워주면 더욱 잘 자랄 수 있습니다.
특히, 강낭콩은 다른 작물과의 궁합이 좋기 때문에, 다양한 작물과 함께 심는 것을 추천합니다.
6. 콜라비
콜라비는 4월과 8월 두 차례 파종할 수 있는 작물입니다. 충해에 강한 편이지만, 처음 재배할 경우에는 모종을 구입하여 소량으로 심는 것이 좋습니다.
콜라비는 적절한 수분과 온도가 필요하므로, 재배 환경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콜라비 | 2-3개월 | 4월 초-중순 | 6월 중순-7월 초 |
콜라비는 빠른 성장 속도를 자랑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며 관리해야 합니다.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잡초를 제거하여 건강한 성장을 도와주어야 합니다.
7. 알타리
알타리는 봄과 가을에 두 번 재배할 수 있는 작물입니다. 4월 초순에 직파하면 5월 중순에는 수확이 가능하며, 가을 재배의 경우 더 단단하고 맛있습니다.
알타리는 재배가 쉽고, 충해가 적어 초보 농부에게도 적합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알타리 | 1-2개월 | 4월 초순 | 5월 중순-하순 |
알타리는 비료와 물을 균형 있게 공급해 주어야 건강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 또한, 조기에 수확하면 맛이 좋고, 두 번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8. 비트
비트는 봄과 가을에 두 번 파종할 수 있는 작물입니다. 비트 모종을 육묘하여 본밭에 심는 것이 좋으며, 직파하는 경우에는 배수와 통기성이 좋은 흙에서 자라야 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비트 | 2-3개월 | 4월 초-중순 | 6월 중순-7월 초 |
비트는 뿌리 작물이기 때문에 흙이 너무 딱딱하면 성장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토양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수확 시에는 뿌리 부분을 조심스럽게 잘라야 합니다.
9. 호박
호박은 서리에 약한 작물이므로 늦서리에 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4월 중순에 심으면 5월 중순부터는 수확이 가능하며, 직파 후 발아가 된 이후에도 온도 관리를 잘 해주어야 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호박 | 3-4개월 | 4월 중순-5월 초 | 6월 중순-7월 초 |
호박은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심는 간격에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비료를 충분히 주어야 건강한 호박을 기를 수 있습니다.
10. 상추
상추는 추운 달을 제외하고 모든 텃밭에서 쉽게 재배할 수 있는 작물입니다. 상추는 충해 피해가 적고 추위에도 강하기 때문에 초보 농부에게도 적합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상추 | 1-2개월 | 4월 초-중순 | 5월 중순-6월 초 |
상추는 햇볕을 좋아하므로, 가능한 한 양지바른 곳에 심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확할 때는 겉잎을 잘라내면 새로운 잎이 자라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수확할 수 있습니다.
11. 치커리
치커리는 적치커리와 청치커리로 나뉘며, 각각의 특성이 다릅니다. 적치커리는 식감이 진하고 향이 강한 반면, 청치커리는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치커리 | 2-3개월 | 4월 초-중순 | 6월 중순-하순 |
치커리는 저온에 노출될 경우 꽃눈이 올라와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기후를 고려하여 파종 시기를 정해야 합니다.
12. 양상추
양상추는 자라는 기간이 길어 우리나라 기후에서 봄과 가을이 짧기 때문에 모종을 가꾸어 속이 찰 때 수확해야 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양상추 | 2-3개월 | 4월 초-중순 | 6월 중순-하순 |
양상추는 모종을 가꾸어 크기를 키워서 심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충분한 수분과 비료를 공급해 주어야 건강한 양상추로 자랄 수 있습니다.
13. 케일
케일은 녹즙용과 쌈채용 품종으로 나뉘며, 각각의 품종에 따라 재배 방법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3-4월에 파종하여 본밭에 정식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케일 | 2-3개월 | 4월 초-중순 | 6월 중순-7월 초 |
케일은 햇볕을 많이 받아야 잘 자라므로, 가능한 한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심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주기적으로 물을 주고, 잡초를 제거하여 건강한 케일을 기를 수 있습니다.
14. 청경채
청경채는 비교적 짧은 재배기간을 가지고 있으며, 생육이 빠릅니다. 주로 4월 초에 파종하여 5월 초에 수확할 수 있습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청경채 | 1-2개월 | 4월 초-중순 | 5월 중순-하순 |
청경채는 낮은 온도에서 잘 자라므로, 기온이 높아지기 전에 수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확 시에는 뿌리를 조심스럽게 잘라내야 건강한 청경채를 기를 수 있습니다.
15. 근대
근대는 고온에서도 잘 자라며, 한여름에도 재배가 가능합니다. 봄 재배의 경우 3-5월에 파종하여 30일 안으로 수확하는 조숙재배를 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근대 | 1-2개월 | 4월 초-중순 | 5월 중순-하순 |
근대는 햇볕을 많이 필요로 하며, 주기적으로 물을 주어야 건강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 또한, 수확 시에는 잎을 조심스럽게 잘라내어야 합니다.
16. 쑥갓
쑥갓은 비교적 생육 속도가 빠른 작물로, 파종 후 35-45일 정도 후에 수확이 가능합니다. 쑥갓은 유기질이 풍부한 보수력 있는 참흙에서 잘 자랍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쑥갓 | 1-2개월 | 4월 초-중순 | 6월 중순-하순 |
쑥갓은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건강에도 유익한 작물입니다. 수확할 때는 아래쪽 잎부터 잘라내어 사용하면 더 많이 수확할 수 있습니다.
17. 시금치
시금치는 저온에 강하며, 4℃에서도 싹이 트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육 적정 온도는 15-20℃이며, 10℃ 전후에서도 잘 자랍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시금치 | 1-2개월 | 4월 초-중순 | 5월 중순-하순 |
시금치는 서늘한 기후를 선호하므로, 더위에 약한 특성을 고려하여 파종 시기를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수확 시에는 뿌리를 조심스럽게 잘라내어야 합니다.
18. 열무
열무는 사철 재배되는 작물로, 봄 재배의 경우 40일 정도 소요됩니다. 줄기 질감이 아삭하고 맛과 품질이 좋습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열무 | 1-2개월 | 4월 초-중순 | 5월 중순-하순 |
열무는 햇볕을 많이 받는 곳에서 잘 자라므로, 텃밭의 위치를 잘 고려해 심어야 합니다. 수확 시에는 아래쪽 잎부터 잘라내어 사용하면 됩니다.
19. 얼갈이배추
얼갈이배추는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생장력이 왕성하고 재배기간이 짧은 것이 특징입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얼갈이배추 | 1-2개월 | 4월 초-중순 | 5월 중순-하순 |
얼갈이배추는 빠른 성장속도를 자랑하므로, 잡초를 잘 관리해야 건강하게 자라며 수확할 수 있습니다.
20. 아욱
아욱은 추위와 더위에 강해 봄, 여름, 가을 모두 재배가 가능합니다. 생육 적정 온도는 16-25℃로, 일교차가 큰 가을에 재배된 아욱이 품질이 가장 좋습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아욱 | 1-2개월 | 4월 초-중순 | 5월 중순-하순 |
아욱은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수확할 때는 아래쪽 잎부터 잘라내어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주기적으로 물을 주어야 건강한 아욱을 기를 수 있습니다.
21. 대파
대파는 봄과 가을에 재배할 수 있는 작물로, 봄 재배의 경우 3월 중순에서 4월 초순에 파종해야 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대파 | 4-5개월 | 4월 초순 | 8월 중순-9월 초 |
대파는 내한성 작물로, 겨울에도 일부 수확이 가능합니다. 또한, 자가소비용으로 기르기 좋은 작물입니다.
22. 부추
부추는 다년생 작물로, 씨앗 발아 최적 온도는 20℃입니다. 부추는 다른 파류보다 발아 온도 폭이 좁으므로, 씨앗을 물에 담갔다가 파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부추 | 1-2개월 | 4월 초-중순 | 6월 중순-하순 |
부추는 병충해가 거의 없고, 건강에 유익한 작물입니다. 중간중간 솎음을 통해 소량 재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3. 잎들깨
잎들깨는 발아 적정 온도가 22℃ 전후이며, 서늘한 기후를 좋아합니다. 노지 재배 시 장마 기간에는 세균성 병에 감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잎들깨 | 1-2개월 | 4월 중순-5월 초 | 6월 중순-7월 초 |
잎들깨는 다양한 요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수확할 때는 아래쪽 잎부터 잘라내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24. 미나리
미나리는 물이 많은 곳에서 잘 자라는 작물로, 봄철에 가장 맛이 좋습니다. 미나리는 다양한 요리에 활용됩니다.
작물명 | 재배기간 | 파종 시기 | 수확 예상일 |
---|---|---|---|
미나리 | 2-3개월 | 4월 초순 | 6월 중순-하순 |
미나리는 물을 많이 필요로 하므로,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재배해야 합니다. 수확할 때는 뿌리를 잘라내어 사용합니다.
위의 작물들은 2025년 4월에 심기에 적합하며, 각각의 재배 방법과 주의사항을 고려하여 텃밭을 잘 가꾸시기 바랍니다. 건강하고 맛있는 작물을 수확하시길 기원합니다!